손글씨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캘리그라피가 주는 디자인적인 느낌이 있기 때문에 종종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캘리그라피를 업체에 맡기면 되지만 시간도 걸리고 결과물 예측이 불확실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문제점을 폰트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서는 손글씨 폰트를 내놓았습니다. ai 기술을 이용하면 손글씨 폰트를 대량으로 만들어 낸 것입니다. 이제는 폰트도 ai가 만들어 주는 시대가 온 것 같습니다. 얼마 전에 그림을 그려주는 ai로 인해서 만화가들이나 그림작가들에게 센세이션이 있었습니다. 생각보다 그림 퀄리티가 너무 좋았고 아이디어도 좋았기 때문에 직업이 없어지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올 정도였습니다.
이번에 캘리그라피를 찾아보다가 발견한 AI로 만든 손글씨 폰트 또한 상당히 놀라웠습니다. 손글씨를 학습해서 폰트를 대량으로 만들어 낸 것입니다. 옛날에는 폰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하나하나 수작업이 필요했기 때문에 새로운 폰트가 출시될 때마다 주목을 받을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AI로 대량 폰트 생산이 가능한 시대에 온 것 같습니다.
네이버 손글씨로 바꿔주는 사이트 바로가기
https://clova.ai/handwriting/list.html
ai가 찍어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의 폰트이기 때문에 무려 109가지 종류의 손글씨 폰트를 제공합니다. 개개인의 글씨체를 그대로 폰트로 만들어서 폰트화 시킨 것인데, 직접 이용해 보시면 손글씨인지, 직접 쓴 글씨인지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정교하게 잘 만들어졌습니다.
109개의 글씨체 중에서 사용해보고 싶은 글씨체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체험하기', '설치하기' 메뉴가 뜹니다. 이 중에 '설치하기' 메뉴를 선택하면 곧바로 해당 폰트를 적용하여 손글씨를 써 볼 수 있습니다.
영어를 쓰는 인구는 많기 때문에 영어 필기체 폰트는 많이 나왔었는데, 한글 글씨체 폰트가 이렇게 대량으로 출시된 것은 처음인 것 같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이 정도 글씨체라면 직접 이미지 느낌에 맞게 캘리그라피를 적용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직접 쓴 캘리그라피와 구분이 힘들 정도인데, 더 다양한 폰트를 제공해서 여러 가지 느낌을 살릴 수 있습니다.
강부자님체, 곰신체, 꽃내음체, 미니 손글씨체, 북극성체, 소미체, 손편지체, 아빠글씨체 등등 다양한 폰트를 제공하며 사이트 내에서 곧바로 적용해서 손글씨체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글자 크기가 작아지면 글씨체 느낌이 많이 사라집니다. 그래서 제대로 사용하려면 글자크기 폰트를 일정 크기 이상으로 키워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아무래도 자음과 모음을 조합해서 글씨가 완성되는 한글이다 보니 소소한 변화를 적용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캘리그라피를 적용하는 이미지 작업에서는 폰트 크기를 상당히 크게 사용하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문제없이 작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폰트 굵게 만든 경우에도 문제없이 굵은 폰트로 작성되었습니다. 가끔 굵은 글씨체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 폰트가 있는데, 이 손글씨체 폰트들은 모두 굵은 글씨체를 지원하였습니다.
본인 컴퓨터에서 디자인 작업하실 분들은 사용할 폰트를 다운로드하여서 이용하면 됩니다. 그러면 ttf 확장자 파일로 다운로드되기 때문에 본인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 불러와서 이용하면 됩니다. 용량은 글씨체마다 다르지만 약 5mb 정도를 차지했습니다. 포토샵에서 적용하여서 이용해 보았는데 문제없이 폰트 글씨체를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AI 기술이 이제 실제로 생활 전반에 스며드는 것이 느껴집니다. 아직까지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분들만 조금씩 느껴지는 상황이지만 몇 년 이내 일반인 분들도 직접 느낄 수 있을만한 상황이 될 것 같습니다. 새로운 세상이 오는 것 같아 두근거리기도 합니다.
이상으로 손글씨체 폰트 제공 사이트와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손글씨체 폰트가 필요하신 분들에게 도움되셨기 바랍니다.
할로윈 배경화면으로 바꿔주는 어플 (0) | 2022.10.19 |
---|---|
삼성 모바일 프린트 어플로 쉽게 프린트 하는 방법 (0) | 2022.10.15 |
스플래툰3 모바일 어플 이용 방법 (0) | 2022.10.14 |
2023 달력 어플 설치, 사용 방법 (0) | 2022.10.14 |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 스피커 배터리 잔량 확인 하는 방법 (2) | 2022.10.13 |
댓글 영역